기타를 보고 판별해 보자!
나무가 원목인지 무늬목(원목 무늬의 합판)인지 구별하십시오. 값싼 제품은 대부분 무늬목으로 만들어지며 고가품도 일반적으로 70 만원대 이하의 악기는 앞판만 원목이고 옆판과 뒷판은 무늬목으로 만들어 집니다 그러나 원목이라해서 모두 합판보다 소리가 좋은것은 아니며 질이 떨어지는 원목을 사용할 경우엔 오히려 음질이 떨어지므로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앞판의 경우 시더(Ceder)와 스프르스(Spruce) 두 종류의 나무가 주로 사용되며, 눈으로 보기에 결이 곧고 선명하며 빛깔이 고울수록 좋은나무 입니다. 옆 ' 뒷판의 경우 아주 어두운 계통의 로즈우드 또는 하카란다 등의 원목이나 무늬목이 사용됩니다. 빛깔이 어둡기 때문에 나무가 갈라진 곳이 없는지 잘 눈여겨 보아야 합니다. 단, 나무 본래의 특이한 무늬나 나무의 옹이자국은 문제삼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네크가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있는지 확인 하십시오. 눈으로 보아서 휘어져 보일 정도라면 연주에 지장이 많습니다. 전체적으로 나무의 이음 부분들을 세심하게 관찰 하십시오. 혹시 갈라져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고,나무와 나무의 이음부분들이 깨끗하고 정확하게 일치되어 있을수록 정성스럽게 만든 악기입니다.
공명통의 내부를 밝은 곳에서 눈여겨 보십시오. 공명통 내부의 나무들이 보이지 않는 곳이라 해서 전혀 다듬어지지 않았거나, 지저분하다면 만든 사람의 정성이 없는 악기겠지요? 헤드머쉰을 돌릴때 너무 빡빡하거나 겉돈다든지,줄을 퉁겼을때 치르르하는 떨리는 소리가 나지는 않는지 확인 하십시오.
네크의 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얇아도 좋지 않습니다. 평소에 연주하기 편한 기타의 네크두께를 기억해 두십시오. 초보자의 경우 네크가 얇을수록 편안하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너무 얇아도 좋지 않다는 것은 후에 스스로 알게 됩니다.
기타의 무게를 가지고 좋고 나쁨을 결정지으려는 행동은 어리석은 판단입니다. 나무의 종류에 따라 얼마든지 무게의 차이가 있습니다. 명기의 경우도 악기의 무게는 천차만별입니다. 다만 현재의 세계적인 추세는 가벼운 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